2003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살인의 추억』은 한국 영화사에서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긴 범죄 스릴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1980년대 후반 실제로 벌어진 화성 연쇄살인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미제 사건을 다루는 방식과 형사들의 무기력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영화가 던지는 질문은 단순한 범죄 해결을 넘어, 사회 시스템과 인간 내면의 공허함까지 확장된다. 이 글에서는 ‘허탈한 정의감’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이 영화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형사 심리: 무너진 책임감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 속 형사들은 처음엔 영웅처럼 등장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사건의 미궁 속에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송강호가 연기한 박두만은 처음에는 마을의 터줏대감 같은 존재로, 발로 뛰며 사건을 해결하는 ‘감’ 좋은 형사로 묘사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행동은 점점 불안정해지고, 결국에는 폭력과 감정적 대응으로 치닫는다. 이는 단순한 형사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당시 수사 시스템의 한계를 보여준다. 공권력의 정당성이 유지되지 못하고, 과학 수사조차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형사들은 ‘정의’를 추구하다가 오히려 그 정의에 의해 무너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영화는 '형사'라는 직업을 단순히 정의의 대변자로 묘사하지 않는다. 그들은 현실과 싸우고, 불합리한 구조와 싸우며, 결국 자신도 모르게 타락한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정의란 무엇인지, 그 정의를 실현하는 인간은 얼마나 약한 존재인지를 되돌아보게 된다. 박두만의 눈빛 하나, 망연자실한 표정 하나는 형사의 책임감이 얼마나 허망하게 무너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이다. 형사는 사건을 해결하지 못한 채 끝없는 후회와 자책 속에 머물게 되고, 이는 ‘허탈한 정의감’이라는 주제의 핵심으로 연결된다.
미제 사건: 끝나지 않은 질문들
영화의 핵심은 ‘미제 사건’이다. 범인을 잡지 못한 채 끝나는 결말은 당시 한국 영화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방식이었다. 일반적인 범죄 영화는 명쾌한 해결로 카타르시스를 주지만, 『살인의 추억』은 끝내 범인을 특정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더 강렬한 메시지를 던진다. 관객은 끝나지 않은 질문들과 마주하게 되고, 그 질문은 영화가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머릿속에 남는다.
미제 사건이란 단순히 범인을 못 잡았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피해자 가족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형사들의 자책은 깊어지며, 사회는 점차 무감각해진다. 범인은 법망을 피해 다녔지만,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정신적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이처럼 미제 사건은 개인적인 실패가 아닌 사회 전체의 실패를 의미한다. 정의는 실현되지 못했고, 사건은 잊혀진 채로 남는다. 이 허무한 결말은 오히려 관객들에게 더 깊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미해결 사건이 주는 좌절감은 현실 속에서도 자주 경험하는 감정이며, 이는 '허탈한 정의감'이라는 테마를 더욱 진하게 만든다.
사회 현실: 시스템의 한계
『살인의 추억』이 진정으로 말하고자 했던 것은 단지 범인의 존재가 아니다. 이 영화는 사회적 시스템, 특히 1980년대의 공권력과 수사체계의 민낯을 낱낱이 보여준다. 당시 경찰은 실적에 쫓겨 무리한 수사를 진행했고, 인권은 뒷전이었다. 영화 속에서도 용의자를 고문하거나 허위 자백을 유도하는 장면이 나오며, 이는 실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오히려 또 다른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었던 셈이다.
시스템의 한계는 비단 경찰 조직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 전체가 문제 해결보다는 ‘책임 회피’에 더 익숙했던 시절, 영화는 그 무력함을 정면으로 비춘다. 용의자를 잡기 위해 증거 대신 감이나 직감에 의존하고, 수사 방법은 과학이 아니라 억지로 진행된다. 이런 현실은 사건을 해결하지 못하게 만들고, 형사들로 하여금 자괴감에 빠지게 만든다. 정의를 추구했던 이들은 결국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채, ‘정의감’이라는 단어조차 무색해지는 순간을 맞는다. 사회 시스템이 무너질 때, 정의는 단지 이상적인 개념으로만 남게 된다. 그리고 이 허탈감은 고스란히 관객의 가슴에도 남는다.
『살인의 추억』은 단순한 범죄 영화가 아니다. 이 작품은 형사들의 심리, 미제 사건의 공백, 그리고 사회 시스템의 한계를 날카롭게 그려냄으로써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해결되지 않은 사건보다 더 무서운 것은, 그것을 해결할 수 없는 구조와 인간의 나약함이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허탈한 정의감'이라는 감정을 마주하게 되고, 그 감정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어떤 정의를 잃고 있지는 않은가?